흡연‧음주‧운동‧비만 등 건강행태 개선 노력 필요 > 주요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흡연‧음주‧운동‧비만 등 건강행태 개선 노력 필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4-04-09 08:41 댓글 0

본문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양병국)는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3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8일 발표했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지역사회건강조사는 질병관리본부가 전국 253개 시군구(보건소)와 함께 시군구별 평균 900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매년 조사한다.

 

이 조사는 지역사회의 건강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 08년부터 실시되고 있으며, 흡연, 음주, 안전, 운동, 식생활, 비만, 구강, 정신건강, 검진, 질환 이환 등 258개 조사문항(180개 지표)으로 구성돼 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흡연음주운동비만 등 지표를 통해 나타난 지역주민들의 건강 행태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남자의 현재흡연율은 약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대체로 큰 변화 없이 정체상태 (1246.4%1345.8%)이고, 고위험 음주율은 2012년과 대비해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 (1216.1%1318.6%)을 보였다.

 

특히 걷기실천율로 대표되는 신체활동의 경우, 2008년 조사 이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 (0850.6% 1240.8% 1338.2%)가 뚜렷하고, 비만율(자기기입)은 증가 (0821.6% 1224.1% 1324.5%)하는 음(-)의 상관관계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남자현재흡연율은 평생 5(100개비)이상 흡연한 사람으로서 현재 흡연하는 남자의 분율을 말하고 고위험음주율은 최근 1년 동안 음주한 사람 중에서 남자는 한 번의 술자리에서 7잔 이상, 여자는 5잔 이상을 주2회 이상 마신다고 응답한 사람의 분율을 말한다.

 

또한 걷기실천율은 최근 1주일 동안 130분 이상 걷기를 주 5일 이상 실천한 사람의 분율을 말허고 비만율(자기기입)은 체질량 지수(/) 25이상인 사람의 분율을 말한다.

 

흡연영역별로는 남자 현재흡연율과 현재흡연율은 2009년 이후 계속 감소 추세다. 즉 남자 현재흡연율은 200849.2%에서 0950.4%, 1048.4%, 1147.1%, 1246.4%, 1345.8%으로 2009년만 제외하고 매년 줄어들고 있다.

 

현재흡연율도 200826.0%, 0926.7%, 1025.4%, 1124.9%, 1224.5%, 1324.2% 로 감소했다.

 

또한 흡연자의 1개월 내 금연계획률과 흡연자의 금연시도율은 큰 변동은 없으나 전년도에 비해서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흡연자의 1개월 내 금연계획률은 20126.1%에서 135.4%로 감소했고, 흡연자의 금연시도율도 201226.2%에서 1325.0%로 줄어들었다.

 

금연구역 인지율은 201193.3%에서 1395.2%로 증가했고, 금연캠페인 경험률은 200882.5%에서 0981.1%, 1082.7%, 1187.0%, 1281.1%, 1384.1% 로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이에 비해 금연구역 내 흡연경험률은 201123.5%에서 1324.2% 으로 다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음주영역에서 고위험음주율은 2008년 이후 큰 변동은 없으나, 12년에 비해서는 증가했으며, 월간음주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즉 고위험음주율은 200818.4%에서 0916.3%, 1014.9%, 1118.2%, 1216.1%, 1318.6%을 보였다. 반면에 월간음주율은 200854.1%, 0955.7%, 1056.5%, 1158.3%, 1258.5%, 1359.5% 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연간 음주운전 경험률(자동차 또는 오토바이)200914.7%, 1012.1%, 1111.4%, 1212.3%, 1310.9% 으로 감소하는 추세이고, 연간 음주운전차량 동승률은 큰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영역에서 걷기 실천율은 2008년에 50.6%를 보였으나, 이후에는 0949.4%, 1043.0%, 1141.7%, 1240.8%, 1338.2% 로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또한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은 2012년 대비 증가 (1212.5% 1314.6%)했으나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은 큰 변동이 없었다.

 

비만 영역은 비만율(자기기입)과 주관적 비만인지율이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즉 비만율(자기기입)2008년에 21.6%를 보였지만 이후 0922.8%, 1022.5%, 1123.4%, 1224.1%, 1324.5% 로 나타나 증가 추세이고, 주관적 비만인지율도 0829.8 , 0932.8, 1034.0, 1136.7, 1237.6, 1338.7% 로 뚜렷이 상승하고 있다.

 

체중조절시도율은 증가 (200838.9% 0944.4% 1048.5% 1155.1 1251.4% 1358.4%)하는 경향이 뚜렷해 체중을 조절하려는 욕구는 높으나, 성공률은 낮은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정신건강 영역에서 우울감 경험률은 2011년까지 감소하다 12년부터 큰 변동 없는 추세다. 자살생각률(099.1% 137.9%) 및 자살시도율 (20090.5% 130.4%) 로 다소 낮아졌다. 스트레스, 자살 관련 정신상담률은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다.

 

한편 지역간 건강행태 격차 경향을 보면, 지자체간 건강지표의 격차는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시· 도 단위 남자 현재흡연율은 서울(41.7%), 세종(41.9%), 전남(43.4%)이 낮게 나타났으며, 강원(48.6%), 제주(48.5%), 충북(47.8%)이 높았다.

 

2013년 시· 도 단위 고위험음주율은 대구(14.9%), 울산(15.6%), 광주(16.8%)가 낮게 나타났으며, 강원(21.5%), 제주(19.9%), 경남(19.7%)이 높았다.

 

2013년 시· 도 단위 걷기 실천율은 경북(32.1%), 강원(33.3%), 경남(34.2%)이 낮게 나타났으며, 서울(55.9%), 대전(50.3%), 인천(48.9%)이 높았다.

 

2013년 시· 도 단위 비만율(자기기입)은 대전(21.5%), 전남(23%), 대구

Copyright ©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취재본부장:이창주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2980번지 15호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서울지사 : 서울시 서초구 언남길 70 제이플러스빌딩 2F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