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ogo.png)
2050년까지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40-70% 줄여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4-04-14 08:53 댓글 0본문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지구평균온도가 산업화이전 대비 2℃ 이하로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2050년까지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0년 배출량을 201년 배출량 대비 40~70%를 감축해야 하다는 평가보고서를 13일 밝표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각국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은 물론 2015년 타결을 목표로 진행중인 Post-2020 신기후체제에 대한 국제협상에 있어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IPCC는 이번 보고서에서 최근 온실가스 배출경향, 금세기말까지 지구온도 상승을 2℃ 내로 억제하기 위한 2050/2100년까지의 감축경로, 지역별·부문별 감축시나리오 및 감축대책 등을 제시했으며, 핵심내용은 다음과 같다.
최근 배출경향과 핵심 동인
2000~2010년간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이전보다 더 급격히 증가하고있으며, 추가적 감축노력 없이는 2100년까지 3~5℃ 상승이 예상된다.
이는 경제성장과 인구증가, 특히 경제성장이 가장 중요한 동인으로 작용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2000~2010년간 배출량 증가는 주요 배출 개도국의 경제활동에서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문별로는 에너지 공급부문과 산업부문이 가장 큰 배출증가의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건물 부문의 에너지 사용 증가도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2℃ 목표달성을 위한 감축경로 제시
평가보고서는 2100년까지의 온실가스 농도 기준으로 4개의 대표 시나리오(대표농도경로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를 제시했으며, 2℃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430~480ppm의 농도를 목표로 하는 감축경로(RCP2.6)가 요구된다고 분석했다.
또한 이러한 감축경로를 따르기 위해서는 전 세계가 2050년까지 2010년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40~70%를 감축해야 하며, 특히, 2030년까지 연간 배출량이 30~50GtCO2eq/년 수준으로 관리되지 않을 경우 2030년 이후 감축부담과 경제적 비용이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2℃ 목표달성을 위한 2050년까지의 지역그룹별 온실가스 감축량
이번 평가보고서에서는 2050년까지 각 지역그룹이 부담하여야 할 온실가스 감축량을 2010년 배출량 기준으로 제시했다.
특히 2℃ 목표달성을 위해서 OECD90은 2050년까지 약 80~95%, ASIA(중동지역 제외)는 2050년까지 약 30∼50% 감축을 권고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ASIA지역에 포함되어 있으나 소득 및 배출량이 ASIA 지역 최고수준이며, 1996년에 OECD에 가입했음을 고려할 때, 향후 OECD90 권고수준과 ASIA 권고수준을 함께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 목표달성을 위한 부문별 감축 시나리오
보고서는 2010년 기준 에너지 공급, 산업, 수송 부문에서 급격한 배출량 증가를 전망(Baseline 시나리오)했으며, 2℃ 달성을 위해서 CCS 등 저탄소 에너지 기술을 이용한 감축을 권고했다.
또한, 에너지 최종소비 부문의 수요관리를 2℃ 달성을 위한 핵심수단으로 제시하고 수송, 건물, 산업 등 주요 에너지 최종소비 부문의 에너지 수요관리 권고안을 제시했다.
즉, 2℃ 달성을 가능하게 하는 온실가스 농축농도 430-530ppm을 달성하기 위해 수송 부문의 에너지 수요를 베이스라인 대비 2030년 약 18%, 2050년까지 약 30% 감축할 것을 권고했으며, 건물 부문에는 2030년 약 18%, 2050년까지 약 25%를, 산업 부문에는 2030년 약 20%, 2050년까지 약 28% 감축을 요구했다.
2℃ 목표달성을 위한 부문별 감축정책 권고
보고서는 에너지 공급 부문에 대해서 경제적 타당성이 높아지는 재생에너지 이용의 획기적 증가, 석탄에서 가스발전으로의 전환 및 CCS, BECCS (바이오에너지 + CCS)를 통한 감축비용 및 수단의 다양화를 제시했다.
에너지 최종소비 부문은 수송, 건물, 산업 등의 에너지 최종소비 부문에 해 각각 다금과 같이 권고했다.
우선 수송 부분은 자동차 성능과 에너지 효율 향상으로 2030년까지 2010년 대비 30~50% 감축이 가능하나, 도시계획을 통한 자동차 이용 감소를 유도하는 것도 동시에 추진할 것을 권고했다.
건물은 에너지기준 향상, 냉난방 에너지사용 절감 및 생활방식 개선을 통한 건물 부문의 감축을 권고했고, 산업은 에너지 집약도의 대대적 개선 및 원료사용 절감, 재활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Non-CO2 온실가스 감축 또한 중요 감축정책으로 제시했다.
AFOLU 부문은 신규조림/재조림, 산림경영 및 산지전용 억제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함을 제시하는 한편, REDD+가 효과적인 감축 대안으로 평가됐다.
보고서는 마지막으로 에너지 관련 온실가스 배출의 70% 이상이 배출되는 도시의 친환경화도 강조하고 있다.
이번 평가보고서는 선진국 / 개도국 구분보다는 지역 그룹으로 구분하고, 지역그룹에 따라 감축목표를 제시한 점이 특징이며, 개도국에게도 감축목표를 제시한 점으로 보아, 이는 온실가스 감축에 있어 전 세계가 함께 노력해야함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감축부담의 분배 문제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있으며, 감축의 공통편익 및 지역별 협력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띄는 특징이다.
온실가스 감축 정책에서는 에너지 안보, 대기오염 개선 등의 부수적 효과를 창출하는 등 편익이 크다는 점을 강조했으며, 무엇보다 저 탄소 에너지원 공동개발 및 공급망 연계, 탄소시장 매커니즘 연계 등 지역별 협력을 강조하고, 형평성에 따른 국제적 감축부담의 역할을 강조하고 동 부담 분배의 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부수적 효과가 창출된다는 점을 활용할 경우 온실가스 감축정책의 수용성이 제고될 수 있음을 수차례 언급하고 있다.
관계자는 이와 관련 우리나라도 2020년 이후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이를 심도 있게 검토해야 하며, 앞으로 ▲ 탄소집약적 인프라를 개선하기 위한 사회기반시설 ▲도시계획에 대한 체계적 검토 및 적극적인 에너지 수요관리 정책도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유광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