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탓 국립공원 개구리 서둘러 ‘개굴개굴’ > 웰빙 TOP뉴스

본문 바로가기
    • 'C
    • 2025.07.11 (금)
  • 로그인

웰빙 TOP뉴스

지구온난화탓 국립공원 개구리 서둘러 ‘개굴개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7-02-14 07:05

본문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북방산개구리의 산란시기가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10∼2017년 지리산국립공원에서 살고 있는 북방산개구리의 산란시기를 관찰한 결과 올해 첫 산란일이 2010년에 비해 16일 빨라졌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이달 6일 지리산 구룡계곡 일대에서 북방산개구리가 올해 처음 낳은 알덩어리(난괴)를 확인했다. 2010년 북방산개구리의 첫 산란일은 2월22일이었다

북방산개구리의 첫 산란일이 가장 빠른 해는 2014년의 2월 1일이었고 가장 늦은 해는 2015년 3월 4일이다.

8년간 평균 첫 산란일은 2월 16일(표준편차 11일)로 나타났다.

북방산개구리의 첫 산란일은 적산온도가 발육에 필요한 최저온도(발육영점온도 5℃) 이상이 되는 날(적산온도 시작일)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적산온도는 발육영점온도 이상인 날의 일 평균온도와 발육영점온도의 온도차이를 누적한 온도를 말한다.

적산온도 시작일이 빨라지고 일정한 온도를 보이면 그만큼 산란도 빨리한다. 겨울철 기온이 변덕스러우면 산란일은 헝클어진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생태계 먹이사슬의 중간단계에 있는 북방산개구리의 산란일이 일정하지 않으면 곤충 등 먹이가 되는 다른 종의 출현 시기와 맞지 않아 향후 개체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으로 북방산개구리의 첫 산란 시기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북방산개구리는 환경부에서 지정한 ‘기후변화 생물지표 100종’에 속한다. 이 종은 외부 환경변화에 민감하다.

암컷이 1년에 한번 산란하기 때문에 알덩어리 수만 파악하더라도 해당지역의 개체군 변동을 추정하는데 용이하다.

나공주 국립공원연구원장은 “이번 북방산개구리의 첫 산란일 관찰 결과는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며 “기후변화에 의한 국립공원 생태계의 영향을 비롯해 생물지표 종에 대한 관찰을 강화하고 향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판용기자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 83번길 3-3(성남동)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