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 후 농작물 재배관리 요령은 > 웰빙 TOP뉴스

본문 바로가기
    • 'C
    • 2025.07.27 (일)
  • 로그인

웰빙 TOP뉴스

장마 후 농작물 재배관리 요령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3-07-30 07:18

본문



 

농촌진흥청은 장마가 끝난 다음 국지성 호우와 고온다습한 기후가 예상됨에 따라 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농작물 재배관리 요령을 제시했다.

 

벼는 장마가 끝난 후 침·관수된 논의 줄기나 잎에 묻은 흙 앙금과 오물을 없애고 벼 잎의 물기가 마른 후 병해충 방제를 해야 한다.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많이 발생하는 도열병, 흰잎마름병, 혹명나방 등을 중심으로 잎에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뿌려준다.

 

콩은 물빠짐이 좋지 않은 곳에서는 가장자리에 50∼80cm 깊이로 배수로를 파서 고인 물을 빼줘 습해를 받지 않도록 주의 한다.

 

습해 피해를 입었거나 잘 자라지 않는 경우에는 요소(0.5∼1.0 %)를 잎에 뿌려주는 것이 좋다.

 

조, 수수, 기장 등 잡곡은 갑자기 강한 햇빛에 노출되면 식물체가 시들고 심하면 말라 죽을 수 있으므로 겉에 흙을 긁어 뿌리에 바람이 통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또한, 장마기간 동안 웃자란 잡곡은 조명나방과 같은 병해충 발생이 심할 수 있으므로 약제를 뿌려 예방과 방제에 힘써야 한다.

 

감자는 장마 후 기온이 낮으면 역병이, 기온이 높으면 무름병,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해당 약제를 장마가 물러간 직 후 바로 뿌려야 한다.

 

특히, 역병은 예방이 매우 중요하므로 역병 발생 환경이 예보될 경우 침투성 살균제를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7∼10일 간격으로 뿌려야 한다.

 

고구마는 장마가 끝난 뒤부터 수확기까지 덩이뿌리가 비대해지는 시기이므로 토양이 지나치게 습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침수된 지역은 물이 잘 빠지도록 배수로를 정비하고 덮은 비닐이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흙으로 고정하는 것이 좋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황규석 과장은 “농가에서는 장마가 끝난 다음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재배관리 요령을 충분히 숙지하고 이를 적극 실천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말했다.김판용기자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 83번길 3-3(성남동)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