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4명, 최근 1년간 혐오 표현 경험.. 성별ㆍ인종ㆍ연령 등
도, 실태조사(모니터링) 기반 정책 개선 예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유광식 기자 작성일 25-04-03 15:45본문
경기도민 10명 중 4명은 최근 1년간 사회적 약자를 증오하거나 차별을 선동하는 등의 혐오 표현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경험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는 ‘경기도 인권 관련 도민인식 조사’ 온라인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2월 28일부터 3월 9일까지 도민 6380명을 대상으로 했다.
이번 온라인 여론조사는 도민의 인권에 대한 인식과 도내 인권 상황을 파악하고, 일상생활에서 경험한 인권침해 및 차별 사례에 대한 의견을 수렴해 인권 행정에 활용하기 위해 진행됐다.
결과는 응답자의 72.1%는 경기도민으로서 인권이 보장되고 있다고 응답했다.
‘보장되고 있지 않다’는 3.2%에 그쳤다.
그러나 지난 1년간 직ㆍ간접적 혐오표현 경험 여부에 대해서는 전체의 39.4%가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경험자 2516명을 대상으로 경험한 혐오 표현 종류를 물어본 결과(복수응답) ▲성별 56.5% ▲국적ㆍ인종, 이주민ㆍ소수종교 46.9% ▲연령 46.7% ▲장애인 44.5% ▲외모 37.6% ▲성적 지향 32.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에서 특정 집단의 인권이 얼마나 존중받는지에 대해서는 아동청소년(67.1%)과 노인(61.5%), 여성(60.9%)은 비교적 높게 나왔으나, 비정규직 노동자(34.1%)ㆍ난민(31.5)ㆍ성소수자(28.2%)는 40% 미만이었다.
도민 인권 증진을 위해 다뤄야 하는 주요 인권 문제는 △사회적 약자(장애인ㆍ임산부ㆍ노약자ㆍ아동 등)의 이동권 보장 △이주노동자의 근로와 생활환경 개선 ㆍ청년 주거권 지원 정책 등이 제안됐다.
최현정 경기도 인권담당관은 이와 관련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된 다양한 도민의 목소리는 인권정책 등을 추진할 때 소중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도민의 인권 증진을 위한 당사자로서의 도민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반영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ㆍ산하 및 공공기관ㆍ지원 단체·사회복지시설에서 발생한 인권침해 사건은 경기도 인권센터에 상담 및 구제 신청할 수 있다.
당사자가 아닌 제3자 신청도 가능하며, 상담 내용은 철저히 비밀이 보장된다.
신청은 유선 또는 누리집에서 하면 된다.
- 이전글크루즈 여행, 5월부터 제주 강정항에서 "크루즈 준모항 본격 운영 국내 출발" 노선 확대 25.04.04
- 다음글빛과 전기신호를 이용한 차세대 AI 반도체 기술 개발 성공 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