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의 마음을 갉아먹는 성조숙증 > 웰빙 TOP뉴스

본문 바로가기
    • 맑음
    • -2.0'C
    • 2025.02.19 (수)
  • 로그인

웰빙 TOP뉴스

내 아이의 마음을 갉아먹는 성조숙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3-06-10 06:44

본문


상담 중인 우아성한의원의 정은아원장

 

아직 치아가 올라오지 않은 젖먹이 아이에게 딱딱한 음식을 먹인다면 아기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 이렇듯 아기는 모유와 비슷한 묽은 음식으로 이유식을 시작하고 아이의 신체 성장에 맞춰 점차 씹을 수 있는 음식으로 늘려가는 것이 자연스러운 모습이다. 이처럼 적당한 시기에 따른 자연스러운 속도의 성장은 신체건강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과 인터넷, TV를 통해 아이들이 쉽게 성적 자극에 노출되며 성조숙증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하였다. 성조숙증은 어른이 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인 사춘기 징후가 평균보다 2년 정도 빨리 찾아오는 것을 말한다.

여자아이는 만 8세 이전에 가슴이 나오거나 만 9.5세 이전에 초경을 하는 것이고, 남자아이는 만 9세 이전에 고환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성조숙증은 성장판이 일찍 닫혀 아이의 최종 신장에 영향을 미치고 조기 폐경의 가능성을 높인다. 이런 신체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성조숙증 증상의 아이들은 또래 친구들의 놀림의 대상이 되거나 성범죄에 노출될 우려가 높아 부모의 근심이 크다.

성조숙증 증상을 보이는 8살 딸을 둔 A(여성, 35)씨는 “맞벌이라 평소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이 적었는데 오랜만에 아이와 목욕탕에 갔다가 봉긋한 가슴을 보고 깜짝 놀랐다”며 “이후 아이를 살피니 예민하고 감정 기복도 심해지는 등 마치 사춘기 소녀를 연상시켰다”고 전했다. 덧붙여 A씨는 “아이가 성조숙증이라는 진단을 받고 부터는 모든 게 제가 곁에서 챙기지 못한 탓인 것만 같아 마음이 무너졌다”고 고백했다.

A씨처럼 자녀의 성조숙증이 부모가 잘못 양육한 탓이라 생각해 죄책감에 시달리고 심지어는 우울증에 걸리는 엄마가 많다. 그러나 이런 부모의 스트레스는 아이에게 고스란히 전달된다. 부모가 아이의 진단을 듣고 놀라거나 당황하면 아이는 정서적인 수치심을 느끼게 된다.

이에 성조숙증 전문 우아성한의원의 정은아 원장은 “아이가 겪고 있는 상황이 어른이 되기 위한 자연스러운 과정임을 설명하되 치료를 통해 도와주겠다는 희망과 확신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정상적인 성장을 하는 아이들도 1년에 한 번은 정기적으로 키와 체중을 검사하는 것이 좋다. 이와 함께 엄마는 아이의 신체 변화를 눈으로만 확인하는 것을 넘어 전문가의 정확한 촉진을 통해 발달 정도를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어 정은아 원장은 “성조숙증은 조기에 발견해 빠르게 치료를 시작하면 사춘기 징후를 충분히 늦출 수 있다”며 “성조숙증 자녀를 둔 부모는 아이 앞에서 편안한 모습을 보이고 아이가 이걸 계기로 평생의 건강한 습관을 만들 수 있다는 담대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유광식기자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취재본부장:이창주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 83번길 3-3(성남동)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