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산나물 ‘갓 딴 싱싱함 그대로’ 전국 공급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9-05-08 10:41본문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쉽게 시들고 물러져 대도시 공급이 어려웠던 울릉도 산나물의 유통 시스템을 개선해 전국으로 신선하게 공급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산마늘(명이나물)과 섬쑥부쟁이(부지갱이)는 3~4월 생산되는 울릉도의 대표 산나물로 시장 규모는 400억 원에 이른다.
신선 채소 구매를 원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지만 지금까지는 울릉도에서 육지까지 택배로만 유통돼 절임이나 건조 상태로만 즐길 수 있었다.

농촌진흥청은 울릉도 산나물을 신선 상태로 공급하기 위해 포장과 수송 등 신선도가 유지되도록 유통 시스템 전체를 개선했다.
먼저, 갓 수확한 나물을 1~2도(℃)로 15~24시간 예비 냉장했다.
부패와 냄새 발생을 막을 수 있도록 산나물에 맞춰 산소 투과율(40,000cc/m2·day·atm)을 조절한 기능성 필름1)으로 포장했다.
이어 공기구멍이 있는 골판지 상자에 담아 화물선 냉장 컨테이너(5℃)에 싣고 육지에서도 냉장 상태(3℃)로 판매점까지 이동했다.
그 결과, 10일가량이던 산마늘의 신선도가 3주까지 유지됐다. 섬쑥부쟁이도 2주째 시듦 현상이 발생했으나, 3주 이상까지 품질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의 의미는 지역에 맞는 신선도 유지 시스템을 적용해 소비자에게 울릉도 산나물을 신선하게 공급하게 됐다는 데 있다.
농가 입장에서는 나물 건조 등에 들어가는 노동력을 줄이고 가공품 위주에서 생채(生菜) 판매로 수익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울릉군에서는 지역 산나물 산업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고 수출 품목에 신선 산나물을 추가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저장유통과 김지강 과장은 "최근 신선 나물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늘고, 특히 신선 상태로 구매가 어려웠던 울릉도 산나물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또 "예비 냉장·포장 기술, 수송 조건을 보급해 울릉도 산나물이 대도시 식탁까지 신선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김판용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