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석(碑石)따라 떠나는 서울역사기행 > 레저/문화/ESG

본문 바로가기
    • 비/눈 60%
    • 2.0'C
    • 2024.11.28 (목)
  • 로그인

레저/문화/ESG

비석(碑石)따라 떠나는 서울역사기행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0-10-25 07:35

본문

1.
고종즉위40년칭경기념비

지하철을 타고 혹은 걸어서 서울 곳곳에 숨겨진 비석을 찾아가보면 색다른 서울 역사여행을 할 수 있다. 서울시 전역에 흩어져 있는 다양한 비석들, 우리가 무심코 지나는 이 작은 돌판 위에 몇백년이나 되는 역사 이야기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최초의 한글비석, ‘이윤탁한글영비(李允濯 한글 靈碑)’

노원구 하계동에 있는 ‘이윤탁한글영비’는 훈민정음 창제 이후 구한말까지, 한글로 새겨진 4개의 비석 중 유일하게 건립연대를 알 수 있는 최초의 한글비석이자, 조선 전기에 세워진 유일한 한글비석이다. 그래서 그 자체가 중세 국어와 서체연구에 귀중한 정보를 주는 사료로서의 가치가 커 2007년 서울시 문화재에서 보물 제1524호로 승격되었다. 조선 중종 31년(1536년) 문신(文臣) 이문건이 부친의 묘앞에 세운 이 비석에는 묘주명과 일대기가 새겨져 있고, 양 옆면으로 ‘신령한 비라 쓰러뜨리는 사람은 재화를 입으리라. 이를 글(한문) 모르는 사람에게 알리노라’라는 훼손 경고문구가 쓰여 있어 눈길을 끈다.

말에서 내려 경의 표하던‘하마비’인사이동 풍설 의미하는 하마평의 유래

하마비는 대개 궁궐, 궁집, 문묘 등 국가 주요시설 앞에 세워 그 곳을 지나갈 때는 경의의 표시로, 타고 가던 말에서 내리라는 뜻을 새긴 비석으로 종로구 훈정동 종묘 입구에 하마비(下馬碑)라는 비석이 세워져 있다. 이 하마비에는 ‘대소인원개하마(大小人員皆下馬)’, 즉 ‘모두 말에서 내리시오’라는 글이 적혀 있어, 말을 타고 가던 사람이 말에서 내려 잠시 일을 보러 간 사이에 마부들끼리 무료함을 달래느라 잡담을 나누게 되는데, 이때 그들이 모시는 상전이나 주인 등의 인사이동·진급 등에 관한 얘기도 곧잘 나왔기 때문에, 이런 얘기를 가리켜 ‘하마평’이라 하던 것이 일상용어로 굳어져 오늘날 관리의 이동이나 임명 등에 관한 풍설을 의미하는 용어로 쓰이게 되었다.

태종13년(1413) 최초로 종묘와 궐문 앞에 표석을 놓았는데 이것이 후일에 하마비라고 새긴 비석을 세우게 된 계기였다고 한다. 이후 경복궁, 덕수궁, 동묘 등 왕이나 고관이 거처하는 대부분의 곳에 세워져 역사적 의미를 지켜오고 있지만, 외부에 노출되어 오랜 세월 비바람을 그대로 맞은 탓인지 홀로 쓸쓸한 침묵만 지키고 있다.

치욕의 역사도 역사, 371년 만에 제자리 찾은‘삼전도비’

한편 병자호란시 청에 패배해 한강변 삼전도에서 인조가 항복한 시련의 역사를 되새기는 삼전도비(三田渡碑)는 사적 제101호로 지정되어 있는데 송파구 석촌호수에 있다.

삼전도비는 국치라 여겨져 1895년(고종32) 매몰되었다가 일제강점기 다시 세워지고, 광복 후 1956년 주민들이 이를 치욕으로 여겨 다시 땅속에 묻었다가 1963년 홍수로 재발견되었고, 2007년의 비석 훼손사건 이후 371년만인 올해 4월에야 지금의 자리에 안식을 취하게 됐다.

굴욕적인 강화협정 이후 청태종은 그의 공덕을 자랑하고자 삼전도비를 세우도록 했다. 1639년 남한산성에 포위되어 45일만에 항복한 인조가 청태종 앞에서 세 번 무릎꿇고 아홉 번 머리를 조아린 (삼배구고두, 三拜九叩頭) 것으로 전해지는 삼전도 굴욕의 가슴아픈 역사만큼이나 비석의 역사도 시련으로 얼룩져 있다. 삼전도비는 비석의 앞면 왼쪽에는 몽골어, 오른쪽은 만주어, 뒷면에는 한자, 3개 언어가 하나의 비석에 동시에 새겨진 유례없는 비석으로도 의미가 크다.

조선초기양식 전통과 후기석비양식 특징 완벽하게 보여주는‘인조별서유기비’

은평구(구산역 인근)에 있는 보물 제1462호 인조별서유기비(仁祖別墅遺基碑)는 조선 인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 머무른 별서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서인(西人) 일파가 광해군을 몰아내고 능양군(綾陽君) 인조를 왕으로 옹립한 인조반정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알려준다.이 비석은 숙종이 직접 글씨를 써 세웠고 조선 초기양식 전통과 후기 석비양식의 특징을 완벽하게 보여주고 있다.

임진왜란때 조선을 지원한 명나라 장군 양호 공 기리는‘양호거사비’

서대문구 명지대학교 학생회관 뒷동산에 자리한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91호 양호거사비(楊鎬去思碑)는 임진왜란때 조선을 지원한 명나라 장군 양호의 공을 기리고 있다. 양호장군을 기리기 위한 비는 모두 4기인데, 헌종1년에 세워진 것은 서울 대신고등학교에서 발견되었으며, 나머지 3기는 선조31년(1598)~영조40년(1764) 때 만들어졌다. 양호거사비를 제외한 나머지 2기의 행방은 현재 정확히 알려지지 않고 있다.

임금, 공신의 업적이 담긴‘신도비(神道碑)’, 서울시 전역에 다양한 사연담아 분포

임금이나 공신의 평생업적을 기록해 후손 등이 무덤가에 함께 세워둔 신도비는 다양한 사연으로 서울시 전역에 분포해 있다. 동작구 사당동 까치산공원에 가면 3개의 신도비를 둘러볼 수 있다. 공원내 임당공 묘역에는 조선 중기의 명신 임당공 정유길의 신도비(林塘鄭公神道碑)가 세워져 있으며, 이를 위시하여 인조 때 좌의정까지 오른 아들 수죽 정창연의 신도비(水竹鄭公神道碑)와 효종 원년 형조판서를 지낸 손자 제곡 정광성의 신도비(濟谷鄭公神道碑)가 함께 조성되어 동래정씨 일가의 역사를 살필 수 있다.

중랑구 망우동(용마공원 앞)에는 인조반정의 공신이자, 병자호란 때의 공적으로 우·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오르고 임명된 지 열흘만에 세상을 떠난 신경진을 기리고자 숙종 9년(1683년)에 세운 신경진신도비(申景禛神道碑)가 있다.

관악구 신림동에는 명종 때 여러 관직을 거쳐 우의정과 영중추부사를 지낸 정정공강사상묘역(貞靖公 姜士尙 墓域)의 비(숙종 39년, 1713)가 있고, 남현동에는 이항복과 김장생의 제자이며 인조 5년(1627) 정묘호란 때 병조참판으로 청나라 사신과 교섭하여 화의를 이끈 이경직을 기리는 효민공이경직묘역(孝敏公 李景稷 墓域)의 비(현종 9년, 1668)가 있다.

서대문구 북가좌동에는 조선 영조 때 오위도총부를 지낸 화산군의 생애와 공적을 기리는 화산군이연신도비(花山君 李渷 神道碑)가 있다. 영조 23년(1747) 화산군의 아들 낙창군이 세우고, 영의정인 송인명이 비문을 지었다. 지금은 주변이 주택가라 화산군의 묘소를 확인할 수 없다.

조선 정조가 할아버지 영조를 회상하며 세운‘금암기적비’

은평구 진관동에 있는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38호 금암기적비(黔巖紀蹟碑)는 조선 정조가 명릉을 참배하고 돌아오는 길에 할아버지인 영조의 옛 일을 회상하며 세운 석비이다.

비문은 영조가 세자시설인 경종 원년(1721)에 있었던 내용을 담고 있다. 아버지인 숙종의 생신을 맞아 명릉을 참배하고 돌아오는 길에 금암 덕수천변에 머물며, 이곳의 역사 관리가 소도둑을 잡았다가 사정을 듣고 도둑을 타일러 보낸 일을 목격하고 왕위에 오른 뒤에도 이것을 본받아 훌륭한 정치를 하였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당시 이곳은 의주로 가는 역의 건물을 사용했던 곳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현재 역사건물은 없어지고 비만 남아있다.

백성을 어질게 다스린 벼슬아치 표창하는‘선정비’, 알고 보면 부정부패 관료도 있어

금천구 시흥5동. 정조의 화성 행차길이 있고 830년이 된 은행나무가 서있는 사거리 한복판에는 4개의 선정비가 나란히 서있다. 백성을 어질게 다스린 벼슬아치를 표창하고 기리기 위해 세운 선정비는 예전에는 더 많은 선정비가 있었으나 수해로 없어지고 현재는 1878~92년에 건립된 현령(종5품) 김병이, 이장혁, 조용구, 방천용의 선정을 칭찬하는 내용이 담긴 4기가 남아 있는데 비석의 주인공들이 실제로는 무능하고 부정부패한 관료였다는 점이 아이러니하다.

을미사변때 희생된 영령들을 위로하기 위해 세운‘장충단비’

중구에는 을미사변 때 희생된 영령들을 위로하기 위한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호 장충단비가 있다. 고종황제는 1900년(광무4) 장충단을 세우며 여기에 비석도 함께 세웠다. 비석의 앞면에 새긴 장충단 글씨는 순종황제가 썼으며, 당시 육군대장 민영환이 비석의 뒷면에 장충단을 세우게 된 내력과 의미를 기린다. 1910년 한일합병으로 장충단이 폐지되고 비석도 뽑혔으나, 광복 이후 비석을 되찾아와 신라호텔 자리에 세웠고, 1969년 이후 현 장충단 공원으로 옮겼다.

광화문사거리‘고종즉위 40년칭경기념비’는 대한제국 나라이름 사용 기념 의미

도심 한복판인 종로구 광화문 사거리 교보빌딩 앞에 있는 비전(碑殿)과 그 안에 세워진 사적 제171호 고종즉위 40년칭경기념비 또한 지나가는 이들의 눈길을 끈다.

1902년 고종이 왕이 된 40주년과 그의 나이 51세에 기로소에 들어간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 나라이름을 대한제국으로 고치고 황제의 칭호를 사용한 것을 기념하는 의미도 담고 있다. 기로소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문신을 예우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로 고종은 51세가 되어 60을 바라본다하여 황태자(나중 순종황제)와 신하들의 권고로 들어갔다. ‘대한제국 대황제 보령망육순 어극사십년 칭경기념비’란 긴 이름이 정식명칭이다.

종로구, 일제시대 민족운동 정신 기리는 비석 많아

특히, 종로구에는 3·1운동 기념비, 만해 한용운 시비 등 일제시대 민족운동의 정신을 기리는 다양한 비석이 있다. 종로2가 탑골공원에는 화강석 동판으로 된 3.1독립운동 비석판과 3.1운동 독립선언서의 인쇄소로 잘 알려진 보성사 기념비, 3.1정신 찬양비, 탑골공원 사적비 등이 있으며, 만해 한용운을 기리는 시비도 세워져있다. 전국적으로 만해 한용운을 기리는 시비가 많이 있는데 탑골공원 내에 있는 시비에는‘춘화’,‘우리님’이라는 작품이 새겨져 있어 서울 동국대학교 교정의‘님의 침묵’이 새겨진 비석과 차이를 두고 있다.

6·25전쟁중 개화산전투에서 산화한 1,100명 전사자 위로하는 위령비

강서구 개화산에는 6.25전쟁 중 개화산전투에서 산화한 1,100명 국군 전사자의 영령을 위로하기 위한 개화산 ‘호국충혼위령비’가 세워져 있다. 당시 전투지에서는 연대장, 준장 등 37명의 생존자를 제외한 전원이 사망하였는데 인접 미타사 주지스님이 꿈에서 피를 흘리며 죽어가는 군인들의 환상이 자주 나타나 동네 원로와 이야기를 나누면서 3대대 전몰내력이 드러났고, 이들을 달래고자 위령비를 세웠다고 전해진다.

백호 서울시 행정과장은 “관광지나 박물관에 있어 일부러 찾아가야만 볼 수 있는 문화재가 아니라, 우리 주위에 흔히 볼 수 있는 비석만 관심있게 보아도 색다른 역사여행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집 근처 비석을 통해 아이에게 역사에 대한 흥미를 심어주어도 좋을 것 같다”고 밝혔다.

유광식기자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취재본부장:이창주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 83번길 3-3(성남동)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